본문 바로가기
한국사 검정 능력 시험 도전!!!

강조의 정변의 정의와 정변이후의 변화

by 혀뇌 2024. 2. 3.
728x90

1. 정의
강조의 정변은 고려시대 목종 때 강조가 일으킨 정변을 말합니다. 이 사건은 강조가 목종을 폐위시킨 뒤 살해하고, 대량원군(현종)을 옹립한 사건입니다. 제2차 고려거란전쟁의 원인이 되었습니다.

2. 강조의 정변이 일어난 배경
목종의 어머니인 천추태후와 그의 외척인 김치양의 모의 때문에 일어났습니다. 천추태후와 김치양은 목종에겐 후사가 없음을 이용하여 김치양의 아들을 왕으로 세우려 하였습니다. 그러나 당시 태조의 유일한 혈통인 대량원군이 존재하였습니다. 이를 눈치챈 목종은 중추원 부사 채충순에게 김치양의 음모를 말하고 대량원군을 후계자로 삼아 사직을 타성에 넘기지 않도록 부탁했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정변이 일어났습니다.

3. 정변 이후에 변화

정변 이후에는 고려의 국가 기강이 바로 잡혀 왕권이 재정립되었습니다. 강조는 은대와 중추 남북원을 혁파하고 대신 중대성을 설치하고 국왕 측근직의 단일화를 꾀하였습니다. 이는 정변의 발생을 방지하고 아울러 국왕을 견제하고 감시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었습니다. 그러나 거란이 고려를 침입하는 명분의 하나로 작용하였습니다.

 

4. 정변의 평가

이 사건 후 강조는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였다. 강조는 중대성이라는 기구를 통해 국왕의 신변과 왕명의 출납과정, 왕명의 전달 과정을 장악하였는데, 이는 정변의 발생을 방지하고 아울러 국왕을 견제하고 감시한다는 의미도 담겨 있었다. 강조의 필요에 의해 설치된 중대성은 강조의 몰락과 함께 폐지되었다.
김치양의 난에 대해서는 그가 변란을 일으킬 능력이 없었다거나, 무력을 동원하지 않았다는 점 또는 그와 관련된 기록이 조작되었을 정황이 있다는 점을 들어 난의 실재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보기도 한다.
견해에 따라서는 목종 대 정변이 강조의 주도 하에 이루어진 '강조의 정변'이 아니라 '현종 및 그 세력에 의해서 이루어진 정변'으로 보기도 한다.

728x90